옛날 우리 속담에는 말 한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고 했다.
18세기에 서울의 평균 쌀값은 1섬(약144KG)에 5냥 정도였다고 한다.
**참조 : www.korea.kr/news/cardnewsView.do?newsId=148861004&call_from=naver_news
현재 네이버 쇼핑 기준으로 쌀 20KG가 about하게 50,000원 정도 하니깐,
천 냥이면 7천만 원은 된다고 봐도 될 거 같다.
천 냥의 가치는 현재 본인이 근무 중인 회사에서 20ft Container를 한 대 수출하면 나오는 매출이랑 비슷한 가치라고 할 수 있겠다.
이야~ 요즘 같은 불경기에는 컨테이너 한 대 수출도 감지덕지인데..
아무튼.
말 한마디 한마디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이라는 건 모두가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몰라서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경우는 사회생활 one day, two day 한 게 아닌 이상 없다고 단정 짓고 싶다.
그 나이 먹고, 그 정도로 경험하고 알았는데도 같은 행동을 하는 건데, 모르기도 힘들 거 같다.
(쓰고 보니, 재벌가의 자재분들은 모를 수 있겠다 싶다..ㅋㅋㅋㅋㅋㅋㅋㅋ)
잘못된 걸 알지만 그게 익숙해졌고 좋고(?) 우월감을 주기도 하기에 행동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시 말하지만, 말 한마디만큼 한 번의 행동, 표정, 선택.. 모든 것이 중요하다.
인재를 내 주면으로 모을 수도 있고 다 떠나보낼 수도 있다.
하나의 모습을 통해 그 사람을 평가하고 고정관념이 생기는 일은 비일비재하다.
비즈니스를 하는 모든 사람은 개인 사업이든, 근로자든 상관없이
본인의 가치를 위해서라도 행동과 말과 표정 모든 것을 조심히, 생각하고 해야 한다.
B2B를 하다 보면 갑과 을의 관계가 발생할 수 있고, 조직 내에서도 상하 관계가 형성되기도 한다.
거의 뭐 당연하게 느껴질 정도이다.
이때 관계에서 상대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사람의 태도가 상대방보다 중요하다.
주변을 돌아봐라.
남들은 목소리 큰 사람의 말과 행동을 더 잘 기억한다.
모두가 당신을 속으로 평가하고 있을 것이다.
절대 아래 직원이라고 막말하거나 거래처에 갑질하고 떠넘기고 못살게 구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
저 사람은 힘 있다고 남을 함부로 대하는 사람.
싸가지 없는 사람.
같이 일하고 싶지 않은 사람. 이 될 수 있다.
능력과 별개로 인성이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그리고 갑질하는 사람들 다양하게 구경/관찰/체험 해 본 결과, 그런 사람들 곁에는 간신 같은 사람이나 콩고물 떨어지는 걸 기다리는 사람들만 득실득실했고
진정 능력 있는 인재들은 똥냄새에 질려서 자리를 피하더라~~
(인재까진 아니지만, 본인 역시 똥내 피해서 자리를 옮겼다..^^)
절대 큰 회사에 있다고 작은 회사에 갑질해서는 안 된다.
그건 회사라는 큰 갑옷을 덕분이지 본인의 능력이 아니라는 걸 알아야 한다.
착각하지 말자. 회사라는 그늘에서 나오면 그냥 개털 같은 존재 일 수 있다.
직위가 높다고 해서 아랫사람을 함부로 대해서도 안된다.
계급장 떼면 너나 나나 똑같이 매달 5일 월급날을 기다리는 노동자일뿐이니..ㅋㅋ
'선행학습사회생활 > 대리직장생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토피아 같은 회사 만들기 - 직원 탓 하지말자 (0) | 2021.04.14 |
---|---|
코로나 시국에서의 연봉협상.. 그 쓸쓸함에 대하여 (0) | 2021.03.30 |
입사지원 vs 구인구직. 속고 속이는 게임 (0) | 2021.03.17 |
회사는 직원의 부재로 무너지지 않는다. (0) | 2021.03.09 |
선행학습 회사생활 : 이메일 쓸 때 주의할 점 (0) | 2021.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