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회사를 다닐 때 있던 일이다. 내용이 뭐였는 지는 이제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대표님이 지나가다가 업무 외적인 질문을 하나 했고 모르는 내용이라 확인하고 말씀드리겠다고 했다. 그 때 내가 서류 작성하느라 정신이 없어서 일단은 서류에 집중을 하고 있었는 데.
3분은 지났을 까? 다시 나를 부르더니, 그거는 어떻게 된 거냐고 다시 묻는 것이 아닌가. 내가 지금 충분히 바쁘게 일하면서 당신의 부를 채워주기 위해 열심히 하고 있는데 암것도 아닌 것 같은 사소한 질문으로 나의 집중력과 흐름을 그냥 박살을 내주다니ㅋㅋㅋㅋ
하지만 저건 과거의 내가 잘못한 것이다. 나는 그의 직원이고 게다가 막내였다.
대표님이 물어보셨으면, 그 내용이 뭐였는지 간에 바로 정보를 찾아서 보고를 드렸어야 했다. 설사 그게 뭐 작년 NBA우승팀의 우승상금이 얼마냐고 물어보셨더라도 바로 찾아서 말씀드릴 것이 옳았다.
지금 내가 두 번 쓴 단어가 있다. 바로 "바로"이다.
바로 대답할 줄 아는 게 1등이고 바로 준비되는 게 1.5등이다ㅋㅋㅋㅋ
사장,상무,이사,팀장,부장 등등 어느정도 위치에 있는 분들은, 특히 위로 갈수록ㅋㅋ
빠른 대답과 준비된 자세를 좋아하신다. 100명이면 90명은 그렇다고 말하고 싶다. 그 분들이 기다려준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포기하거나 실망 중일지도 모른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이 직장인이라면, 취업준비생이라면? 당연히 준비된 자세가 도움이 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당연한 거 아니냐고??
예시를 들었던 과거의 나는 그나마 다행히도 업무 외적인 질문이었다.
그렇다면 업무에 관련된 질문을 한다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다행히도 질문의 대부분은 현재 진행 중인 업무이거나, 진행 중이었는 데 잠시 팬딩된 건이라던가 이슈가 있는 건이 될 것이다.
이들도 사람인지라 옛날 히스토리라던지 정확한 숫자가 필요한 부분의 대답은 잠시는 기다려주긴 한다. 하지만 누차 말했듯이 업무에 관련해서는 기억력과 정보력이 필요하다. 아직 업무를 접해보지 못한 후뱃님들이 계신다면 "자기 일인데 왜 모르고 기억을 못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하루종일 1가지의 단순노동을 하는 것이 아니다ㅋㅋ업무는 복잡적이고 골 때리는 방향으로 확장되고 늘어나기 마련이다. 그리고 업무를 지시하는 위치의 분들은 이러한 모든 내용을 궁금할 때마다 바로바로 보고 받고 싶어한다. 지금 간지러운 부분을 바로 긁어주는 효자손을 원하는 것이다.
한 번 반대로 생각해보자. 나는 사장님이고 고용주인데, 내가 내 돈 줘가며 함께 일하고 있는 직원이 뭐만 물어보면 "아 잠시만요~"하고 컴퓨터 한참 뒤져보다가 "어~ 이건 이거같은데요??"이런 대답이나고 하고 있어봐라.
기다림의 여유를 가지기 어려울지도 모를 것이다.
또한 이것은 내 업무능력이다. 지금 이 한 순간. 이 회사에서의 일이 아니라,
다음 직장, 그리고 다음 사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내 능력인 것이다.
본인에게 투자한다는 생각으로 준비하는 자세를 만들어본다면 어떨지 모르겠다.
받아들이는 자세과 생각은 다 다르지만,
지금까지의 경험으로 봤을 때, 사회생활와 직장생활에서는
모르는 게 약인 경우보단, 아는 게 힘인 경우가 압도적으로 더 많다.
'선행학습사회생활 > 대리직장생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에서 배울 수 있는 점(하지만 준비는 대기업으로) (0) | 2021.02.15 |
---|---|
외국어의 중요성은 직무를 가리지 않는다. (0) | 2021.02.09 |
창업을 권하는 시대. 그럼에도 (아직은) 회사생활을 추천하는 이유 (0) | 2021.01.25 |
회사생활 직장생활 : 사장,부장,팀장의 심기가 불편한 날 (0) | 2020.08.22 |
직장생활 회사생활 : 안좋을 이유가 없는 자리 정리의 습관 (0) | 2020.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