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도 참 어렵고 이직시장도 매우 좁다.
이 와중에 코로나 여파로 작년 매출에도 큰 타격을 맞았다.
그리고 연봉협상이 마무리되었다. 협상?이라고 해야 하나?
통보를 받은 거 같다. 쓰리다. 속이 쓰리다.
내가 발을 담그고 있는 이 시장에 대한 불안감과 내가 몸담고 있는 이 회사에 대한 실망과 불신??
코로나라는 이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대박을 친 곳도 있지만 쪽박을 차고 있는 곳도 많다.
어디는 어떻고 어디는 어떻다, 얘기하기 전에. 지금 나의 현실과 미래에 대해 상당한 답답함이 느껴진다.
계속 이 곳을 다녀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 나간다면 무엇을 준비하고 나가야 할 것인가?
또 다른 이직을 통한 봉급자 Life의 연장인 것인가? 최종 목적지를 정해놓고 달리고 있는 것인가?
사실 연봉 협상의 자리에서 상당히 당당했던 나였다.
그 자리로 가는 발걸음에 자신감이 있었다.
허나 올해의 자리는 매우 엄청 대단히 아쉽고 씁쓸했다.
잘 받았을 때도 괜한 욕심에 아쉬웠는데, 쪽박을 쳐보니 더더더더더더 더~욱 더 아쉽다.
회사는 그 회사 대표의 방향성과 Plan에 크게 좌우된다.
우리 회사는 작년에 뒷북만 치고 재미를 못 본 프로젝트가 몇 개 된다.
모두가 “지금??” “이제와서??” 할 때 우리 대표께서 Vamos!를 외쳐서 진행했고 결과는 창문 없는 단칸방처럼 캄캄했다.
많은 직원들이 조용히 속으로 한숨 쉬고 있다. 담배 태우러 나가거나, 커피 마실 겸 해서 나가서 사색의 시간을 갖고 온다.
그렇다. 우리 대표님께서는 직원들의 “신임”을 잃었다.
그룹사의 회장님에게 잘 보여야 하고 본인도 살아남아야 하니 결국 “비용”을 줄이는 걸 선택한 거 같다.
그 “비용”은 인건비였고.
해외사업부의 수장이었던 이사님도 자리가 위험해지자 이것저것 다 시도해보고 결국은 안 좋게 마무리되었다.
다양한 시도는 물론 장려할 만한 자세이다. 실패를 두려워해서 안 하는 것보단 5억배 정도 더 낫다.
하지만 우리회사에서의 “실패”의 원인은, 사업성 검토를 너무 안하고 어디서 들은 풍문을 가지고 일을 벌이고 직원들이 뒷수습하다 끝났다는 것이다.
혹은 철 지난 아이템을 뒤늦게 시작한다거나..
사실 우리 회사는 위험한 회사이다.
생산에는 장기근속하던 인원들이 교체되어 제품의 품질이 불안해지고 있고
본사의 젊은 직원들은 빠르게 물갈이되고 있다. 당장에 우리 팀만 하더라도 작년과는 다른 인원들이 자리를 하고 있다.
대리도 드물다. 그 만만하다고 넘쳐 흐른다는 대리가 여긴 참 없다.
그룹사의 다른 회사만 보더라도 Young한 분위기가 있는데, 여긴 아무것도 모르는 신입사원 급과 고인물만 있다.
당연히 신입들도 언젠가는 나갈 것이고 또 그럼 다시 신입이 들어올 것이고..
경력직은 이제 뽑을 수 없는 단가가 되었다 여긴ㅋㅋㅋㅋ 어휴..
이제는 내가 큰 미련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이 곳에서 한번 크게 히트를 쳐보려고 발버둥 치던 시간들이 있었기에.
많이 아쉽다.
경제 위기의 신호라고 해야 하나? 바뀌는 트렌드를 못 따라가는 회사의 숙명인 건가?
내가 대표라면 어떻게 했을 것이고 무슨 생각을 할까?
이제는 옛날 영화가 되어버린 “웰컴 투 동막골”이라는 영화에서
북한군의 장교(정재영)가 동막골의 이장님 같은 분께 사람들이 잘 따르는 비결이 뭔지. 지혜를 여쭙는 장면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답은 “뭘 좀 많이 먹이는 거지..”였다.
'선행학습사회생활 > 대리직장생활&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의를 만들고 회의감을 주는 회사의 끝모를 회의 (0) | 2021.04.16 |
---|---|
유토피아 같은 회사 만들기 - 직원 탓 하지말자 (0) | 2021.04.14 |
직장생활 팁 : 언행을 조심하자. (0) | 2021.03.18 |
입사지원 vs 구인구직. 속고 속이는 게임 (0) | 2021.03.17 |
회사는 직원의 부재로 무너지지 않는다. (0) | 2021.03.09 |